사회

먹태 열풍… 황태, 백태, 생태와의 차이점은?

최근 먹태의 감칠맛을 활용한 과자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농심의 ‘먹태깡’을 비롯해 다양한 브랜드에서 먹태를 활용한 스낵이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먹태는 원래 고단백 식품으로 건강에 좋은 먹거리로 알려져 있지만, 과자로 가공되면서 칼로리와 단백질 함량이 달라지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먹태, 고단백 식품으로 주목받다

명태는 가공 방식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갓 잡은 상태는 ‘생태’, 얼렸다 녹이는 과정을 반복하면 ‘황태’, 검게 변하면 ‘먹태’, 하얗게 건조되면 ‘백태’가 된다. 먹태는 황태를 만드는 과정에서 온도 변화로 인해 검게 변한 것으로,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먹태 100g당 단백질 함량은 82.7g으로 하루 권장 섭취량의 151%에 해당한다. 탄수화물은 거의 없으며, 지방 함량도 2.4g에 불과해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손꼽힌다. 같은 양의 육포에는 49g, 마른 오징어에는 67.8g, 쥐포에는 21.67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어, 먹태가 단백질 비율 면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먹태 100g의 열량은 372kcal로 밥 한 공기와 비슷하지만, 보통 안주로 섭취하는 양이 25~30g 수준이므로 실질적인 칼로리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낮다. 뿐만 아니라, 칼슘(300mg), 철분(4.9mg), 인(595mg), 칼륨(870mg), 니아신(5.4mg) 등 다양한 무기질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식품이다.

음주 후 간 건강에 도움 주는 먹태

먹태는 술안주로도 인기가 높다. 단백질이 풍부해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키고,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어 과음과 과식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음주로 인해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한다. 먹태에 포함된 다양한 무기질은 알코올 대사를 촉진해 숙취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아무리 건강한 식품이라도 과다 섭취는 금물이다. 단백질이 간세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섭취할 경우 간에서 단백질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가 생성되면서 오히려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먹태 과자, 건강한 선택일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먹태 과자들은 먹태 특유의 감칠맛을 살려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하지만 먹태 자체가 아닌 가공된 형태의 과자로 섭취할 경우, 칼로리와 영양 성분이 달라진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먹태 과자의 칼로리는 밥 한 공기 수준이며, 단백질 함량은 원재료인 먹태의 약 9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건강을 고려한다면 원형 그대로 섭취하는 것이 더욱 영양학적으로 우수할 수 있다.

먹태는 그 자체로도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음주 후 간 건강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가공식품 형태로 섭취할 경우 영양 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신의 식단과 건강 상태를 고려해 적절한 양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