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X 급락 지속… 투자 심리 극도로 불안정
독일 주요 주가지수 DAX가 이번 주 중반에도 큰 폭의 하락세를 이어가며 극도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의 심리를 가늠할 수 있는 일종의 ‘공포 지표’도 급등하고 있어, 시장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미국의 추가 관세 시행 후 투자 심리 급냉
최근 미국의 새로운 대중국 관세 조치가 발효되면서, 글로벌 증시에는 다시 한 번 불안감이 확산됐다. 독일 증시 역시 예외는 아니다. DAX 지수는 장 초반부터 내림세를 타기 시작해 오전 내내 낙폭을 키웠다. 이날 기록한 장중 최저치는 19,554포인트로, 전일 대비 3.6% 급락했다. 이로써 전날의 상승폭이 하루 만에 모두 사라졌으며, 지난 금요일의 급락과 월요일의 패닉 장세 이후에도 안정을 찾기에는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이다.
공포 지표 급등… 시장의 긴장감 고조
DAX의 급등락은 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VDAX 지수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이날 VDAX는 15%나 급등하며 월요일 수준에 근접한 수치를 기록했다. VDAX는 DAX 지수의 향후 변동성 기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시장이 불안정하다는 뜻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변동성 지표인 VIX와 함께 ‘공포 지수’로 불리기도 한다. 실제로 VIX는 전날 장 마감을 52포인트에서 마감해, 투자자들 사이에 극도의 공포 심리가 형성됐음을 보여줬다. 웰렌라이터 인베스트의 시장 전문가 로버트 레트펠트는 “VIX 수치는 현재 투자자들의 공황 상태를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DAX는 아직 ‘조정 국면’?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아직 DAX의 상황을 지나친 비관으로 해석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eToro의 시장 분석가 막시밀리안 빈케는 “현 상황은 극적이지만 여전히 기술적 조정 범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역대 최고치 대비 손실폭은 약 17% 수준이며, 지난 2년 간의 강한 상승세를 고려하면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참고로, ‘베어마켓(약세장)’은 통상 최고점 대비 20% 이상의 하락이 있을 때 정의된다. 이번 주 월요일 DAX는 최고점이었던 3월 중순의 23,476포인트에서 하루 최저치인 18,489포인트까지 밀리며, 약 21% 하락해 잠시 베어마켓 기준을 넘겼다.
미국 증시는 이미 베어마켓 진입
미국 증시에서는 상황이 더 악화되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지수와 시장 전반을 반영하는 S&P 500 지수는 이미 베어마켓에 진입했다. 다우존스 지수도 현재까지는 16% 하락하며 근접한 상태다.
레트펠트는 “베어마켓은 대개 초기의 급락, 이후의 반등, 그리고 몇 달 뒤의 최종 저점이라는 과정을 거친다”며 “평균적으로 1년 이상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2022년 베어마켓과 유사한 흐름
가장 최근의 베어마켓이었던 2022년을 살펴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3월에 첫 저점을 기록한 후 반등했지만, 9월 말 다시 한 번 저점을 형성하며 마무리됐다. 레트펠트는 “때때로 첫 번째 패닉 장세가 곧 전체 최저점이 되는 경우도 있다”며 “1987년과 2020년의 폭락장이 이에 해당하지만, 1929년 대공황은 예외였다”고 설명했다.
현재 글로벌 금융시장은 심리적으로도 매우 불안정한 상태다. 독일과 미국을 포함한 주요 주식시장은 고전 중이며,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투자자들로서는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최고 연봉 선수는 따로 있다… 오타니 7억 달러 계약도 ‘명함 못 내미는’ 이유
일본 야구 스타 오타니 쇼헤이(29)가 미국 메이저리그 LA 다저스와 10년간 총액 7억 달러(한화 약 9,213억 원)라는 역사적인 계약을 체결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 거대한 액수에도 불구하고 오타니는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수입이 많은 스포츠 선수 명단에서는 상위권에 들지 못한다.
오타니의 계약 방식은 일반적인 고액 계약과는 다르다. 그는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매년 2,000만 달러(약 263억 원)만 받고, 나머지 6억 8,000만 달러(약 8,950억 원)는 2034년부터 2043년까지 연금처럼 분할 수령하는 형태다. 이는 구단이 사치세를 피하고, 오타니는 향후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오타니 본인의 요청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오타니는 연평균 200만 달러(약 26억 원)의 연봉을 받게 되는데, 이는 일본과 미국에서 벌어들이는 연간 광고·후원 수입 3,500만5,000만 달러(약 460억658억 원)에 비하면 적은 금액이다.
하지만 오타니보다 훨씬 더 많은 수입을 올리는 스포츠 스타들이 있다. 대표적인 인물은 축구의 슈퍼스타 리오넬 메시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그리고 NBA의 르브론 제임스다.
메시는 현재 미국 MLS의 인터 마이애미에서 뛰고 있으며, 2025년까지 2년 반 동안 최대 1억 5,000만 달러(약 1,974억 원)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메시의 선수 경력 전반을 포함한 총 수입은 2025년까지 16억 달러(약 2조 1,059억 원)를 넘길 전망이다. 바르셀로나 시절에는 연간 1억 달러 이상, 파리 생제르맹에서도 7,000만 달러 이상을 받았으며,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는 연봉 4억 달러 제안도 받은 바 있다.
한편, 호날두는 2022년 5월부터 2023년 4월까지 1억 3,600만 달러(약 1,792억 원)의 수입을 기록하며 해당 기간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선수로 꼽혔다. 특히 광고 수입만으로 9,000만 달러(약 1,185억 원)를 벌었고, 그의 총 팔로워 수가 6억 명이 넘는 인스타그램 영향력도 큰 몫을 했다. 현재까지 그의 누적 수입은 15억 8,000만 달러(약 2조 793억 원)에 달한다.
NBA의 르브론 제임스 역시 어마어마한 수입을 자랑한다. 2023~2024 시즌 연봉만 4,760만 달러(약 627억 원)이며, 광고 및 외부 수익으로 8,000만 달러(약 1,053억 원)를 더해 총 1억 2,760만 달러(약 1,679억 원)를 한 시즌에 벌어들인다. 그는 NBA 전체 선수 중 가장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으며, 총 누적 수익은 14억 달러(약 1조 8,421억 원)를 돌파했다. 스테픈 커리 역시 연봉 5,190만 달러에 광고 수익 5,000만 달러를 더해 1억 190만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외에도 미국 프로골프 선수들의 수익은 상상을 초월한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의 막대한 자금력으로 출범한 LIV 골프 리그는 선수들의 수익 구조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더스틴 존슨은 1년 사이 1억 1,100만 달러(약 1,461억 원)를 벌었고, 투어 계약금으로는 별도로 1억 2,500만 달러를 받았다. 필 미켈슨은 1억 700만 달러(약 1,408억 원)의 수익과 함께 2억 달러에 달하는 계약금을 챙겼다. 그는 지금까지 총 13억 6,000만 달러(약 1조 7,895억 원)를 벌어들였다.
결국 오타니의 7억 달러 계약은 역사적인 금액임에도 불구하고, 세계 스포츠 시장에서 보면 단지 ‘정상에 이르기 위한 시작점’일 뿐이다. 스타성과 글로벌 마케팅 파워를 갖춘 선수들의 세계는 훨씬 더 거대한 돈이 오가는 무대임을 보여준다.